조경은 도시 속 녹지를 설계하고 사람과 자연을 잇는 전문 기술 분야입니다. 그중에서도 조경산업기사조경기사는 국가가 공인하는 대표적인 조경 기술 자격으로, 설계·시공·감리 등 전문 영역에서 필수 자격증으로 평가받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큐넷 기준으로 두 자격의 시험과목, 난이도, 공부법, 진로를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THUMBNAIL-조경기능사자격증취득방법


🧾 조경산업기사 vs 조경기사 자격 비교표

구분조경산업기사조경기사
시행처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응시자격 전문대 졸업 또는 실무경력 2년 이상 4년제 졸업 또는 실무경력 4년 이상
필기 과목 1. 조경계획 및 설계
2. 조경식재시공
3. 조경시설물시공
4. 조경관리
1. 조경사
2. 조경계획
3. 조경설계
4. 조경식재
5. 조경시공구조학
6. 조경관리론
실기 과목 조경설계 및 시공 실무
(작업형 2시간30분 + 필답형 1시간)
조경설계 및 시공 실무
(도면 3시간 + 필답 1시간30분)
합격기준 필기: 과목당 40점 이상 + 평균 60점 이상
실기: 60점 이상
필기: 과목당 40점 이상 + 평균 60점 이상
실기: 60점 이상
평균 합격률 필기 약 20% / 실기 약 35% 필기 약 25% / 실기 약 40%
난이도 중급 ★★☆ 상급 ★★★★
활용분야 설계보조, 현장관리, 공공기관 기술보조 조경설계, 감리, 공공기관 기술직, 엔지니어링

📌 요약: 조경산업기사는 실무형 중급자격, 조경기사는 설계·감리 중심의 고급자격입니다.

조경기능사 자격증이 궁금하다면 아래 글도 참고해보세요. 

🌳 조경기능사 완벽 정리|국비지원 취득방법부터 공부법까지 한눈에!


🌱 조경산업기사 취득방법 (큐넷 2025년 기준)

① 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② 관련학과

전문대학의 조경학, 원예조경학, 환경조경학, 녹지조경학 관련학과

③ 시험과목

  • 필기: 조경계획 및 설계 / 조경식재시공 / 조경시설물시공 / 조경관리
  • 실기: 조경설계 및 시공 실무

④ 검정방법

  •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30분)
  • 실기: 복합형(총 4시간 내외)
    - 작업형(2시간30분) 도면작성 중심 60점
    - 필답형(1시간) 설계 및 시공이론 40점

⑤ 합격기준

  • 필기: 과목당 40점 이상 + 평균 60점 이상
  • 실기: 60점 이상

⑥ 공부법 (실무형 집중 루틴)

  • 필기 4주 완성 루틴
    ① 교재 1권으로 조경계획·시공 중심 2회독
    ② 기출 5개년 3회 반복 / 오답노트로 정리
    ③ 주요 출제 빈도 높은 ‘조경관리’ 파트 집중(40%)
  • 실기 6주 완성 루틴
    ① 배식도, 단면도, 전설표 기본형 반복 (하루 1장)
    ② 도면 완성 시간 측정 — 3시간 30분 이내로 훈련
    ③ 필답형 대비: 설계 의도·공정·식재기법 요약정리
    ④ 모의실기 피드백을 통한 손 움직임 루틴화

⑦ 국비지원 과정으로 준비하기

조경산업기사는 실무 중심의 자격증이라, 국비지원(국민내일배움카드) 과정을 통해 학원 실습으로 준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워크넷/고용24에서 ‘조경산업기사’ 과정을 검색하면 국비 100% 지원 또는 자비부담 10~20% 수준의 실습반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조경산업기사 국비지원학원 검색 바로가기

조경기사,산업기사 자격증 취득방법


🏛️ 조경기사 취득방법 (큐넷 2025년 기준)

① 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Q-Net)

② 관련학과

대학교 및 전문대학의 조경학, 원예조경학, 환경조경학, 녹지조경학 관련학과

③ 시험과목

  • 필기: 조경사 / 조경계획 / 조경설계 / 조경식재 / 조경시공구조학 / 조경관리론
  • 실기: 조경설계 및 시공 실무

④ 검정방법

  •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30분)
  • 실기: 복합형(약 4시간30분)
    - 작업형(도면 3시간) 60점
    - 필답형(1시간30분) 40점

⑤ 합격기준

  • 필기: 과목당 40점 이상 + 평균 60점 이상
  • 실기: 60점 이상

⑥ 공부법 (이론·실기 병행 루틴)

  • 필기 준비 (3개월)
    ① 조경사·계획·생태학은 ‘이해형’ 중심 요약정리
    ② 조경시공구조학은 계산·공정 순서 중심 반복
    ③ 기출문제 5년치 분석해 출제패턴 파악
    ④ 주 1회 모의고사로 시간 관리 훈련
  • 실기 준비 (3~4개월)
    ① 도면 루틴: 윤곽 → 주요 수목 → 포장/지피 → 치수/해칭 → 전설표
    ② 필답 대비: 조경식재·시공 응용문제 키워드 정리
    ③ 3회 이상 실전 모의실기 진행, 시간 내 완성률 90% 이상 목표
    ④ 도면 표현력보다 ‘완성도+정확한 기호’가 핵심

⑦ 국비지원 과정으로 준비하기

조경기사는 실무 중심의 자격증이라, 국비지원(국민내일배움카드) 과정을 통해 학원 실습으로 준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운영하는 워크넷/고용24에서 ‘조경기사’ 과정을 검색하면 국비 100% 지원 또는 자비부담 10~20% 수준의 실습반을 찾을 수 있습니다.

💡 TIP
비전공자라면 독학보다는 국비과정을 통해 도면 실습·수목감별·시공공정을 실무로 배우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 특히 실기시험 도면 작성 루틴과 수목식별은 현장에서 직접 보고 배우면 암기 속도가 빠릅니다.


조경기사,산업기사 자격증 차이


📊 조경산업기사·조경기사 합격률 추세

연도산업기사 필기산업기사 실기기사 필기기사 실기
202423.7%41.6%26.9%47.1%
202319.5%24.5%22.0%32.7%
202219.7%34.3%26.6%42.5%
202116.6%37.0%20.5%43.1%
202016.7%29.5%27.2%43.0%

두 자격 모두 필기 합격률은 20% 내외, 실기는 35~45%로 유지됩니다. 즉, 기출 반복과 시간관리 훈련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 조경산업기사 ‘중급’인데 초급으로 등록되는 이유

자격체계상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상위인 중급 수준 자격이지만, 건설기술인협회(KISCON)에 등록하면 초급기술자로 분류됩니다. 이는 경력연수에 따라 등급이 자동 조정되기 때문이에요.

조건건설기술인 등급
산업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 0~3년초급기술자
산업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 4년 이상중급기술자
기사 취득 후 실무경력 5년 이상고급기술자 이상

따라서 “중급자격증”은 자격 등급상 위치를 말하는 것이고, “초급기술자”는 실제 등록 시점의 현장 등급이에요.


🌳 마무리

조경산업기사와 조경기사는 단순히 ‘시험용 자격’이 아니라 조경 설계·시공·감리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핵심 단계입니다. 산업기사는 현장 중심의 실무형, 기사는 이론·설계·감리형으로 방향이 다르지만, 두 자격 모두 꾸준히 수요가 높고 취업 연계성이 좋습니다.

📌 지금 준비한다면, 조경산업기사로 기본기를 다지고 기사 자격으로 도약하세요. 자연을 다루는 기술은 오래될수록 가치가 높습니다 🌿


📎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