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경기능사 취득 대상|누가 따면 유리할까?
- 현장 입문자·비전공자 — 학력이나 경력 제한 없이 응시할 수 있어, 조경 실무를 배우며 현장 경험을 쌓고 싶은 분에게 적합합니다.
- 식물과 야외 업무를 좋아하는 사람 — 실내보다 자연 속에서 일하는 걸 좋아하는 분들에게 추천! 식재·잔디·포장 등 다양한 실무를 다룹니다.
- 안정적인 기술직을 목표로 하는 분 —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의 녹지관리직이나 조경 보조인력으로 입문해 경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 장기적으로 산업기사·기사까지 준비하려는 분 — 기능사를 시작으로 상위 자격으로 단계별 성장 로드맵을 만들기 좋습니다.
📚 조경기능사 vs 산업기사·기사 차이 한눈에 보기(최신 2025)
구분 | 조경기능사 | 조경산업기사 | 조경기사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 ||
응시자격 | 제한 없음 (누구나 응시 가능) | 전문대 졸업(또는 관련 실무 2년 이상) | 4년제 졸업(또는 관련 실무 4년 이상) |
필기시험 과목 |
1. 조경일반 2. 조경재료 3. 조경시공 및 관리 |
1. 조경계획 및 설계 2. 조경식재시공 3. 조경시설물시공 4. 조경관리 |
1. 조경사 2. 조경계획 3. 조경설계 4. 조경식재 5. 조경시공구조학 6. 조경관리론 |
실기시험 |
① 도면설계 작업 ② 수목감별 ③ 조경시공 실무 (총 3시간 30분 내외) |
조경설계 및 시공 실무 - 작업형(2시간30분) + 필답형(1시간) |
조경설계 및 시공 실무 - 도면작업(3시간) + 필답형(1시간30분) |
검정방법 |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60문항 / 60분) 실기: 작업형(3시간 30분 이내) |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과목당 30분) 실기: 복합형(작업형+필답형) |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과목당 30분) 실기: 복합형(작업형+필답형) |
합격기준 |
필기: 100점 만점, 과목당 40점 이상·평균 60점 이상 실기: 100점 만점, 60점 이상 |
||
활용 분야 | 조경시공·유지관리·식재보조·공공녹지 현장직 | 설계보조·현장관리·공무직·지자체 기술보조 | 조경설계·감리·공공기관 기술직·엔지니어링 분야 |
난이도 | 입문 ★☆☆ | 중급 ★★☆ | 전문 ★★★ |
💼 조경기능사 취업처 및 진로 전망
조경기능사 자격증은 다음과 같은 분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 🏗️ 조경시공·관리업체 — 공원, 단지, 도로변, 리조트 등에서 식재·포장·전정·관수 등의 시공 보조
- 🌳 공공기관·지자체 녹지관리직 — 시청·군청 등에서 도시공원 및 녹지 유지관리(계약직·공무직)
- ⛳ 골프장·리조트·테마파크 — 잔디 및 수목 관리, 관수 시스템 점검, 계절별 조경 유지
- 🏢 조경회사·건설사 현장관리 보조 — 공사현장의 조경 공정 관리 및 자재 보조 업무
최근에는 녹색일자리·정원사업단·학교숲 관리 등에서도 조경기능사 자격 보유자를 우대합니다. 입문 이후에는 산업기사·기사로 역량을 넓혀 공공기술직, 감리, 설계보조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조경기능사 공부방법|필기·실기 합격 노하우
🧠 필기시험 구성
- 조경일반 — 조경의 기초개념, 설계 및 시공 이론
- 조경재료 — 석재, 목재, 토양, 포장, 시설물 등 자재 특성
- 조경시공 및 관리 — 공정관리, 안전관리, 유지관리 기초
60문항 60분, 과목당 40점 이상·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 실기시험 구성
- 도면 제도(배식도, 단면도, 평면도 등)
- 식재계획 및 수목감별 실습
- 조경시공 실무 작업(현장 도면 기반)
실기는 도면작성과 수목감별이 핵심이에요. 실제 시험 시간 안배와 수목 주요 특징 암기가 중요합니다.
🏫 조경기능사 국비지원 수업 듣는 곳
국민내일배움카드(고용노동부)를 통해 국비지원 과정으로 많이 수강합니다.
고용24 - 직업 능력 개발 - 훈련찾기 - 훈련 통합검색에서 조경기능사를 검색해보세요.
📝 조경기능사 시험 일정 및 접수 방법
📊 조경기능사 난이도와 합격률 분석
최근 10년간 조경기능사 시험은 필기 합격률 약 45~52%, 실기 합격률 약 85~90%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으로는 필기 47.9%, 실기 74.9%로, 예년보다 약간 낮은 수치를 보였어요.
즉, 필기에서 절반가량이 탈락하지만, 필기만 통과하면 실기에서 대부분 합격하는 구조입니다. 이 말은 곧 필기 기초 개념과 문제풀이 훈련이 가장 중요한 관문이라는 뜻이죠. 실기는 난이도가 높지 않지만, 시간 관리와 손 작업 숙련도가 성패를 가릅니다.
연도 | 필기 응시 | 필기 합격률 | 실기 응시 | 실기 합격률 |
2024 | 17,243 | 47.9% | 8,598 | 74.9% |
2023 | 17,970 | 51.7% | 8,846 | 87.7% |
2022 | 16,486 | 52.7% | 8,705 | 85.9% |
2021 | 18,092 | 46.4% | 8,537 | 87.0% |
2020 | 13,443 | 46.4% | 6,235 | 90.8% |
최근 응시 인원이 꾸준히 연 1만 7천 명 이상으로 유지되며, 건설·조경 분야 입문 자격으로 꾸준히 인기가 높습니다. 필기 난이도는 평균 2~3회독으로 충분히 대비 가능하며, 실기는 ‘기출유형 반복 + 시간 훈련’으로 합격률 80% 이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조경기능사 8주 합격 공부 루틴
📅 1~2주차: 개념 기초 다지기
- 교재 1권 선정 후 ‘조경일반·조경재료·조경시공 및 관리’ 핵심 정리
- 개념보다 기출문제 해설 중심으로 공부 (문제 유형 파악이 중요)
- 조경 용어·기본 수목명·시공 공정 순서 암기
📅 3~4주차: 필기 집중 반복
- 최근 5개년 기출문제 3회 이상 회독
- 틀린 문제는 오답노트 작성 → ‘이유·정답 근거’ 중심 정리
- 모의고사 형식으로 시간 맞춰 풀기 (60분 / 60문항)
📅 5~6주차: 실기 기초 및 도면 연습
- 배식도·단면도·평면도 기본형을 직접 손으로 그려보기
- 수목감별 연습 (잎·줄기·수피 특징 60종 표로 정리)
- 유튜브·학원 자료 참고해 조경시공 공정(토공–식재–포장–시설물) 절차 익히기
📅 7~8주차: 실전 모의실기 + 시간 관리
- 실제 시험 시간(3시간 30분) 기준으로 도면 완성 시간 훈련
- 실습학원 또는 온라인 모의실기 참여 → 강사 피드백으로 수정
- 작업 순서를 루틴화 (윤곽 → 주요 수목 → 지피·포장 → 치수·해칭 → 전설표)
💡 공부 꿀팁
- 필기 과목은 조경시공 및 관리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출제율 약 40% 이상!
- 실기에서는 도면보다 시간 내 완성이 더 중요합니다. 반쯤 완성된 도면은 감점 폭이 큽니다.
- 시험장에서는 개인 도구(제도용품, 스케일자, 지우개, 클립 등)를 꼼꼼히 준비하세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