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도 어느덧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습니다. 한 해 동안 공무원 채용 소식과 함께 가장 많이 관심을 받았던 주제 중 하나가 바로 공무원 연봉표였어요.
특히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 호봉별 기본급, 수당 체계는 취업 준비생뿐만 아니라 현직 공무원분들도 꾸준히 찾아보는 핵심 정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에 적용된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를 정리하고,
-
일반직 공무원이란 무엇인지,
-
호봉 제도의 의미,
-
특정직·별정직 공무원과의 차이,
-
공무원 수당 종류와 지급 기준,
등 기본 개념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일부 직급의 호봉별 기본급은 표로 요약해 드리고, 전체 봉급표는 원본 이미지를 첨부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일반직 공무원이란?
공무원은 크게 일반직·특정직·별정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일반직 공무원은 행정, 기술, 연구 등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일반 행정을 담당하는 가장 보편적인 직렬이에요. 우리가 흔히 ‘9급·7급 공무원 시험’이라고 부르는 채용 시험으로 들어오는 직렬이 바로 일반직입니다,
- 특정직 공무원은 경찰·소방·군인·교사처럼 특별법에 따라 임용되고, 직무 특성이 분명한 경우를 말합니다.
- 별정직 공무원은 정무직 보좌나 정책 지원 등 특정한 직무를 맡는 경우로, 임용 방식이 다르고 정치적 성격이 강한 직종이 많습니다.
따라서 이번 글에서 소개하는 봉급표는 일반직 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별정직 공무원에게 적용되는 기준이에요.
✅ 호봉이란?
공무원의 급여는 직급(9급~1급)과 더불어 호봉이라는 개념으로 세분화됩니다.
- 호봉은 근무 연수·경력 등을 반영한 단계라고 이해하시면 돼요.
- 예를 들어, 9급 1호봉으로 임용된 신규 공무원이 매년 근속 평가에 따라 2호봉, 3호봉으로 올라가면서 기본급이 상승합니다.
- 결국 같은 직급이라도 호봉이 오를수록 월급이 달라지기 때문에, 공무원 급여를 이야기할 때는 “직급+호봉”을 함께 봐야 해요.
✅ 공무원 보수 구조
공무원의 월급은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집니다.
- 기본급(봉급) → 직급·호봉별로 정해진 금액
- 각종 수당 → 정근수당, 가족수당, 자녀학비보조수당, 위험근무수당, 시간외근무수당 등 (실제 연봉에서 수당이 차지하는 비중이 20~30%에 달하기도 합니다.)
- 성과급 및 상여금 → 근무 실적, 성과평가에 따라 차등 지급
즉, 단순히 봉급표만 보고 “공무원 월급이 얼마다”라고 말하기는 어렵고, 수당과 공제를 합산·차감해야 실제 연봉이나 실수령액을 알 수 있습니다.
✅ 2025년 공무원 봉급표 일부
아래는 2025년 인사혁신처에서 발표한 봉급표 중 일부예요. (단위: 원)
직급/호봉 | 1호봉 | 5호봉 | 10호봉 | 20호봉 |
---|---|---|---|---|
9급 | 2,000,900 | 2,104,000 | 2,456,700 | 3,146,900 |
7급 | 2,173,600 | 2,480,300 | 3,027,300 | 3,834,200 |
5급 | 2,798,500 | 3,276,200 | 3,929,300 | 4,910,800 |
3급 | 3,653,800 | 4,210,900 | 4,940,700 | 6,127,600 |
1급 | 4,498,600 | 5,152,700 | 6,030,200 | 7,507,800 |
👉 전체 봉급표는 아래 이미지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 출처: 인사혁신처 |
👉 1~32호봉까지, 봉급표도 살펴보세요. > 인사혁신처 공무원 봉급표 바로가기
✅ 공무원 수당 제도
공무원은 기본급 외에도 다양한 수당이 지급됩니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정근수당: 매년 1월, 7월에 근속 기간에 따라 지급
- 가족수당: 부양 가족이 있는 경우 지급
- 자녀학비보조수당: 자녀가 학교에 다니는 경우 일부 학비 지원
- 위험근무수당: 경찰·소방 등 위험 직무에 지급
- 시간외근무수당: 초과근무 시 지급
- 성과상여금: 평가 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 (SS등급은 최대 172.5%까지 가능)
따라서 실제 공무원 연봉은 기본급 + 수당 + 성과급 – 공제(세금, 연금 등) 구조로 결정됩니다.
✅ 마무리
2025년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를 통해, 공무원의 기본급 체계와 수당 제도를 살펴봤습니다.
정리해보면,
- 공무원은 직급과 호봉에 따라 기본급이 달라지고,
- 다양한 수당이 더해지면서 실제 연봉이 계산되며,
- 일반직 외에도 특정직(경찰·소방·군인·교사)과 별정직 공무원은 별도의 봉급체계를 따릅니다.
실제 연봉은 봉급뿐만 아니라 각종 수당과 공제까지 함께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본인의 상황에 맞춰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는 경찰·소방 같은 특정직 공무원과 교원·우정직 등 별도의 봉급체계를 갖춘 직렬도 따로 정리해 드릴 예정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함께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0 댓글